???jsp.display-item.heading1???

국제비교 고용관계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Employment Relations
Author(s)
그렉 J. 뱀버러셀 D. 란즈베리닉 웨일즈
Issued Date
2005
Publisher
한국노동연구원
Keyword
국제비교고용관계영국미국캐나다
Abstract
이 책은 주요 선진시장경제국(DME)인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스웨덴, 일본, 한국의 고용관계 전통과 문제를 요약하고 있다. 호주, 영국, 미국과 여타 지역에서 국제 고용관계(IR)와 인적자원(HR) 비교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자 연구와 컨설팅에 몰입하던 중 이러한 저술이 필요하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완전히 개정된 이번 판의 첫 장(章)과 마지막 장에서는 DME에서 나타나는 경향을 개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국제비교 고용관계가 중요한 연구 영역으로 자리잡게 된 연유를 설명하는 것으로 이 책은 시작된다. 또한 이와 관련된 방법론적인 문제를 고려하면서, 이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을 평가하고 있다(각 국가를 구체적으로 다룬 장을 읽기에 앞서 더 일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두 장을 먼저 읽을 수도 있다).
각 국가마다 한 장(章)씩 할애하고 있는데, 이들 국가는 부국들의 모임이라 할 수 있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회원국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앞 부분 4개 장을 할애한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는 서로 유사한 노사 대립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그 다음 4개국은 모두 유럽 국가들이다. 이들 중 이탈리아와 프랑스는 강력한 전후 공산주의와 가톨릭 연합주의 전통을 가진 라틴계 국가들이다. 독일과 스웨덴은 북서유럽 국가들로 산업자본주의와 기술 형성에 있어서 확연히 구분되는 접근방법을 개발해 왔다. 나머지 2개 국가인 일본과 한국은 동아시아 국가로 서구와는 다른 대안적인 형태의 고용관계를 개발해 왔다. 산업화의 출발지인 영국에 대한 논평에서 시작하여, 새롭게 산업화를 경험하였으며 50년도 안 되는 짧은 시간에 농업국가에서 선진경제국가로 탈바꿈한 한국에 대한 논평으로 끝맺는다. 비교를 돕고자 유사성을 보이는 국가들을 나란히 배치하여 구성했다. 예를 들어 영국과 미국, 캐나다와 호주, 프랑스와 이탈리아, 독일과 스웨덴, 일본과 한국을 각각 근접한 장들로 구성하여 서로 비교하면서 읽을 수 있게 하였다.
각 국가는 유사한 형식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경제, 역사, 정치, 법률, 사회라는 맥락을 조사하고, 사용자, 노동조합, 정부 등 주요 이해집단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다음에는 법률 제정, 사업장 및 기업별교섭, 중앙교섭, 중재, 공동협의 등 고용관계의 주요 과정을 세밀하게 분석한다. 또한 새로운 형태의 인적자원관리(HRM), 노동법 개혁, 기술변화, 근로자참여, 이주노동, 노동시장의 유연성, 소득정책 등 중요하고 화제가 되는 문제를 논의한다. 대부분의 경제국가에서 정기적으로 이러한 문제에 대한 토론이 있으며 다른 국가의 경험으로부터 소중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각 국가마다 서로 관련 있는 주요 사건들의 연대기와 참고 리스트가 있어 현재의 사건들을 바라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중요한 쟁의와 논쟁에 대해 논평한 단원도 있다(제8장 1992년 독일 공공부문 임금 투쟁, 제11장 1996~97년 한국에서 노조에 의한 노동법 개정 반대). 제9장에서는 스웨덴의 종업원기금(wage-earner funds) 관련 논쟁을 기술하고, 제10장에서는 일본 기업과 다른 나라 기업들과의 근본적인 차이가 무엇인지를 설명하고 있다. 부록에는 이들 10개국에 관한 국제경제 및 노동시장 비교 자료를 수집 · 정리하였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1. 세계화(globalisation)란 무엇인가? 3
2. 국제비교 고용관계를 연구하는 이유 4
3. 무엇을, 어떻게 비교해야 하는가? 7
4. 고용관계 형태변화에 대한 해석 9
가. 노사관계 시스템 10
나. 단체교섭 11
다. 교섭의 분권화 13
5. 수렴에 대한 논쟁 14
가. 수정된 수렴 15
나. 후발국 18
6. 확산으로? 20
7. 수렴과 확산에 대한 재검토 22
가. 전략적 선택과 MIT 프로젝트 22
나. 수렴하는 확산 26
6. 비판적 정치경제학의 관점 28
8. 세계화는 고용관계의 국가적 패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31
가. 단순 세계화 접근 32
나. 제도주의적 접근 33
다. 통합적 접근 35
9. 결 론 37


제2장 영국의 고용관계 39
1. 고용관계 당사자 41
가. 노동조합 41
2. 사용자와 그들의 조직 46
3. 국가의 역할 49
가. 노사관계의 법적 개혁 49
나. 경제정책 53
다. 작업장에서의 형평성과 차별 54
라. 저임금과 최저임금 54
마. 쟁의조정: 알선과 중재 55
바. 공공부문 57
4. 노사관계의 과정 58
가. 단체교섭 58
나. 근로자참여 60
다. 비노조주의 63
5. 현재와 미래의 이슈들 64
가. 노동시장의 변화 64
나. 노동의 경험 66
다. 파트너십에 대한 합의 68
6. 결 론 70


제3장 미국의 고용관계 75
1. 역사적 배경 76
2. 주요 당사자 78
3. 사용자와 단체 78
4. 노동조합 79
5. 정 부 81
6. 고용관계의 주요 과정 84
7. 1980년대: 실험과 변화 86
8. 1990년대: 소득과 단체교섭의 양극화 88
9. 변화하는 고용관계 90
10. 노조의 재부흥 90
11. 고용 관행의 다양성 91
12. 평생직장(Career jobs)의 미래 92
13. 단체교섭에서의 이니셔티브 94
14. 단체교섭 구조의 분권화 96
15. 결 론 98


제4장 캐나다의 고용관계 101
1. 역사적, 정치적, 사회 · 경제적 배경 101
2. 고용관계의 각 당사자 107
가. 노동조합 107
나. 경영자 113
다. 정부 115
3. 고용관계의 과정 116
가. 단체교섭 116
나. 파업 및 조정 절차 117
4. 현재와 미래의 중요한 현안 119
가. 사용자와 단체교섭 121
나. 노동쟁의 123
다. 공공부문의 고용관계 125
라. 노동운동의 정치적 역할 126
5. 결 론 128


제5장 호주의 고용관계 131
1. 법적 · 정치적 · 경제적 배경 133
2. 고용관계의 각 당사자 137
가. 사용자단체 137
나. 노동조합 139
다. 정 부 142
3. 고용관계 과정 144
4. 쟁의의 해결 146
5. 임금 결정 149
6. 현재와 미래의 쟁점 153
가. 작업장관계법하에서 최근 등장하는 협상 구조 153
나. 노동운동과 산업 및 정치 부문간의 관계 155
다. 대안적 노동자 대표 형태 156
7. 결 론 157


제6장 이탈리아의 고용관계 161
1. 역사적 · 정치적, 그리고 사회경제적인 배경 163
2. 고용관계 당사자들 170
가. 경영, 사용자와 그들의 협회 171
나. 노조들과 다른 형태의 피사용자 대표기구 173
다. 정부와 국가기관들 178
3. 고용관계 변화 추이 181
가. 단체교섭과 ‘사회적 협약’ 181
나. 쟁의와 쟁의 해결 185
다. 임금 결정과 지불 체계 186
라. 노동자참여와 협의 187
4. 최근의 현안 188
가. 새로운 형태의 작업과 고용 188
나. 고용관계와 남부의 발전 189
다. 민영화(privatisation)와 고용관계 190
5. 결 론 191


제7장 프랑스의 고용관계 196
1. 노사관계 각 당사자 198
가. 노동조합 198
나. 사용자 206
다. 국 가 208
2. 기업내 종업원대표제 212
3. 근로자참여와 단체교섭 216
4. 대표 선거 223
5. 왜 노동조합 조직률이 낮은가? 224
6. 노동쟁의 228
7. 결 론 231


제8장 독일의 고용관계 236
1. 고용관계를 둘러싼 사회경제적인 환경 236
2. 고용관계 당사자 238
가. 사용자와 사용자단체 238
나. 노동조합 241
다. 국가와 공공부문의 고용관계 244
3. 고용관계의 주요 과정 249
가. 공동결정: 근로자의 경영참가 249
나. 단체교섭 257
다. 노동쟁의(industrial disputes) 261
4. 현재와 향후의 문제들 262
가. 유연화와 탈규제화 262
나. 독일통일: 내부적 변화 269
다. 유럽통합: 외부적 도발 273
5. 결 론 276
제9장 스웨덴의 고용관계 279
1. 역사적 배경 280
2. 고용관계 각 당사자 284
가. 노동조합 284
나. 사용자 조직 286
다. 사회적 파트너의 특성 287
라. 정부의 역할 288
3. 고용관계의 주요 절차 288
가. 쟁의 해결 289
나. 산업 · 경제민주주의 290
4. 현재와 미래의 주요 쟁점 293
가. 산별협약 294
나. 작업장에서의 고용관계: ‘복싱’과 ‘댄싱’ 296
다. 중 재 297
라. 스웨덴기업연맹 299
5. 결 론 300


제10장 일본의 고용관계 306
1. 일본식 고용관계 모델 309
가. 근로자와 노동조합 311
나. 사용자 및 사용자 조직 317
다. 근로자 자주관리기업? 318
라. 단체교섭 321
2. 현재 쟁점사안 323
가. 직업안정과 고용관행 325
나. 외국인 근로자 문제 327
다. 유동성의 원천: 기술 혁신 328
라. 노동이동성 증가 330
3. 결 론 332


제11장 한국의 고용관계 338
1. 한국의 고용관계의 발전 339
2. 고용관계 당사자 342
가. 노동조합 342
나. 사용자 346
다. 국가의 역할 348
3. 주요 과정 351
가. 단체교섭과 분규 351
나. 노사협의회 352
다. 쟁의해결 353
4. 현 안 354
가. 구조조정과 고용안정 354
나. 노동시장 유연성과 노동조합 355
다. 노동법의 변화 356
라. 외국인 노동력 357
마. 노동시간 단축 359
5. 결 론 359


제12장 결 론 363
1. 고용관계의 국제적 차원 363
가. WTO, ILO, 그리고 국제노동기준 364
나. 노조활동의 국제적 차원들 369
다. 유럽직장협의회 375
2. 국제적 시각에서 본 고용관계의 변화 377
가. 노동조합 379
나. 사용자 381
다. 정부와 법적 구조 383
라. 변화의 동학 385
3. 결 론 388


부 록 고용, 경제학, 그리고 노사관계: 비교통계 393
1. 인구, 경제구조, 그리고 고용 394
2. 세계화에 대한 척도들 399
3. 국가적 고용관계 제도와 관행들 402
4. 노동시장의 결과들 408


부 표 413


참고문헌 433
Series
기타 2005-11
Extent
472
Type(local)
Report
Type(other)
기타자료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