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uthor(s)
- 김형기
- Issued Date
- 1999
- Publisher
- 한국노동연구원
- Keyword
- 한국; 제조업; 생산체제; 특성; 혁신방향
- Abstract
- ○ 제조업 생산체제의 현황
- 전형적인 포드주의적 대량생산체제와는 구분되는 낮은 수준의 ''유연 대량생산체제'' 단계임
○ 유연 대량생산체제의 몇 가지 문제점 존재
- 기술체계가 요구하는 숙련에 미달하는 ''숙련 갭'' 발생
- 주어진 작업장 참가수준이 요구하는 정보공유 수준에 미달하는 ''정보공유 갭'' 발생
- 작업장 참가와 전략적 의사결정 참가간의 비조응 문제인 ''참가 갭'' 발생
- 노동통합적 탈포드주의적 요소는 아직 미약하고 노동배제적 포드주의적 요소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혼성 유연 대량생산체제''라고 볼 수 있음
○ ''신생산체제''를 위한 생산체제 혁신의 기본방향
- 팀 생산방식, 소사장제도, 전사설비보전 활동 등의 경영방식으로 고참가를 촉진
- 높은 노동장비율과 고성과를 위해 다품종 대량생산방식과 유연자동화를 통한 고숙련 촉진
- 수직적 직무통합, 직무순환, 작업장 참가, 생산직과 기술직과의 정기적 의사소통 필요
- 장기간의 사전 교육훈련, 이론적 지식과 창의성, 근속에 비례한 숙련 상승 요구
- 성과주의적 및 능력주의적 임금체계의 도입
- 노사간의 정보공유 수준과 노사협의 수준의 향상
- 경쟁우위 전략을 통한 고품질 전략 추구
- Table Of Contents
- 第1章 序 論
第2章 生産體制 分析의 方法
第1節 硏究對象과 資料
第2節 理論的 틀
1.축적체제, 생산체제, 임노동재생산
2.생산체제 분석의 방법
第3章 製造業 生産體制의 全體的 傾向:槪觀
第1節 經營方式
第2節 技術體系
第3節 作業組織
第4節 熟練形成
第5節 補償體系
第6節 勞使關係
第4章 生産體制의 特性 分析
第1節 生産性 獲得의 技術的 要因
1.‘기술작업조직숙련’의 연관
2.경쟁우위 전략과 경영기법의 작용
3.기술적 요인의 생산성 효과
第2節 生産性 獲得의 勞使關係的 要因
1.경영방식 및 기술체계와 노사관계의 관련
2.작업조직과 노사관계의 관련
3.생산체제에 대한 노조의 효과
第3節 生産性의 分配方式:賃金體系와 인센티브制度
1.임금체계와 생산체제의 관련
2.인센티브 시스템
第4節 生産體制의 特性:分析結果의 綜合
1.생산체제의 기술적 특성:유연 대량생산
2.고품질 전략:생산체제 전환의 추동력
3.고성과 기업의 기술적 특성
4.노동과정과 관련된 쟁점들과 명제들
5.생산체제의 노사관계적 특성
6.생산체제에 대한 노조의 효과
7.생산성의 분배방식의 특성
8.소결:생산체제의 총체적 성격
第5章 生産體制 革新의 方向:‘新生産體制’의 構築
第1節 生産體制 革新의 隘路 및 促進 要因
1.생산체제 혁신의 애로 요인
2.생산체제 혁신의 촉진 요인:‘신생산체제’의 요소들
第2節 新生産體制 確立을 위한 政策對案
1.사용자의 정책:기업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현
2.노동자들의 전략적 선택:참가적 노사관계의 지향
3.정부의 정책:신숙련형성 정책과 기업지배구조 개혁
- Series
- 연구보고 99-06
- Extent
- 170
- Type(local)
- Report
- Type(other)
- 연구보고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