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display-item.heading1???

노사공존의 길

Metadata Downloads
Author(s)
에드워드 코헨신디아 버튼이재훈
Issued Date
1999
Publisher
한국노동연구원
Keyword
노사공존MUTUALGAINS노사협력
Abstract
노사협력은 어떤 면에서는 거의 역설적인 것처럼 보인다. 결국, 경영자와 노조주의자들은 반목하고, 언제나 다투어야만 하는가?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고 본다; 적어도, 그런 식으로 되어서는 안 된다. 노사는 광범위한 이슈들에 관해 협력할 수 있고 그들의 단결성과 주장을 여전히 유지할 수 있다. 많은 이슈와 관심사들은 상이한 관점들을 존중하면서 공동실행을 위한 기초를 형성한다.
이 책은 노사 양측에 공동선, 즉 상호이익을 초래할 수 있는 방식으로 협력해야 할 이유와 협력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다. 우리는 노사관계가 이론상 보이는 것과는 달리 적대적인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양 당사자들은 그들 관계의 유익한 가능성을 완전하게는 개발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노사의 이익을 균형시켜 주는 산업조직 시스템이 있다고 믿고 있다. 노사협력의 정신에 있어서 우리의 목표는 승-승(win-win)이다. 우리는 친노동조합주의적(pro-union)이며, 또한 친사용자주의적(pro-management)이다.
우리는 작업장이 노조에 의해 대표될 때 사회, 종업원 그리고 사용자 모두가 도움을 가장 많이 받게 된다고 느끼고 있다. 모든 사람들이 이러한 평가에 동의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사실을 인정한다. 오히려 어떤 사람들은 오늘날의 도전들을 다루는 데 있어서 노조는 불필요한 시대착오적인 것이라고 느낄 것이다. 우리는 민주주의와 견제와 균형을 포기하면서 맹목적이고 문제시되는 전문성을 추구하는 경향에 대해 비관적이다. 어떤 사람들은 작업장에 노동조합이 결성되는 것을 모든 수단을 사용하여 회피해야 할 해악(evil)으로 간주한다. 그들은 경영전권을 방해하는 제3자(thirdarties)를 반대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노동조합을 제3자가 아닌 노동자들의 매개자(instrument)로 파악한다. 그들이 가입하고 있는 노동조합이 외부자가 아닌 것은 기업의 상부에 있는 경영자들이 외부자가 아닌 것과 마찬가지이다. 반노조주의자들은 열정적으로 노동력에 있어서 수정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는 노나 사 어떤 쪽도 도덕적 우월성을 보유하거나 청렴성을 보유하고 있다는 주장을 믿지 않는다. 노동조합은 실제로 완벽함과는 거리가 멀며, 그리고 사용자 역시 경영대학에서 가르치는 원리들을 거의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노조주의에 대한 우리의 선호는 우리들의 개인적 경험과 가치관뿐만 아니라 우리들의 전문적 식견에 근거하고 있다.
이러한 지향성(orientation)이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노동조합의 이점에 대한 확장된 합리화를 제공하거나 그들의 유효성에 대한 경고를 하지는 않는다. 우리는 이 책에서 제시된 아이디어들이 노조가 없는 상황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설명하지는 않는다. 우리는 또한 고지식하게 모든 상황이 긍정적일 수 있다고 믿지도 않으며, 갈등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도 믿지 않으며, 혹은 대결이 주의(caution)를 초래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믿지 않는다. 우리의 바람은 관여되는 모든 사람들의 성장을 위한 가능성을 가진 긍정적인 선택안을 찾는 것이다.
이 책의 목표는 두 가지다. 첫 번째 목표는 노사협력의 적용범위를 밝히는 것이다. 한 권의 책으로 전에는 서로 연계되지 않았던 많은 영역들과 연결 영역들을 다루는 것은 이슈들을 너무 가볍게 다룰 위험을 야기시킨다. 그러나 우리의 주요한 목표는 단체교섭에 있어서의 노사협력의 근원들(roots)로부터 미래의 모험에 이르기까지의 노사협력에 대한 폭넓은 모습(picture)을 그리는 것이다.
두 번째 이 책의 목표는 노사협력이 단지 이론이 아니라 실행가능한 것이며 실제적인 대안이라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다. 우리의 글은 협력을 실질적인 것으로 만들기 위하여 광범위한 사용자들과 노조들과 함께 작업한 직접적인 경험을 토대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경험은 우리들로 하여금 이 같은 처방들(prescriptions)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것을 확신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책은 모든 협력적 활동에 대한 심도 높은 가이드북은 아니다. 오히려 이 책은 노사가 협력에 관해 생각할 수 있도록 의도된 것이다. 거의 어떤 독자들도 전체를 읽을 필요는 없다. 목차와 색인은 여러분들이 원하는 부분들을 빨리 확인시켜 줄 수 있을 것이다.
제1부에서는 노사협력을 위한 토대에 대해 광범위한 개관(overview)을 제공한다. 그것은 협력에 대한 정의들을 검토하고 노사 양측의 특별한 관점들을 검토한다. 노사협력 접근법이 어디에서 유래되어 그리고 그들의 성공과 한계에 대한 관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노사협력의 역사가 제시된다.
제2부에서는 협력의 가능성들에 대한 광범위한 파노라마(panorama)를 제공한다. 기본적인 협약으로부터 시작하여 외부적으로 확대된다. 협상의 원칙들을 적용하고 고충들을 다루기 위한 새로운 방식들이 논의된다. 노사위원회의 설립과 관리에 있어서 노동자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역시 개관된다. 마지막으로, 시장, 제품개발, 그리고 투자에 대한 고려는 확대된 수입기반의 토대 위에 미래를 함께 만들어갈 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제2판에서는 어떻게 질(quality)이 광범위한 개선 전략들을 위한 하나의 통합 슬로건(unifying banner)이 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제3부에서는 공동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들을 논의한다. 협력적 노력의 명백한 교훈은 비록 유연성이 필요할지라도 실제적으로 협력의 원칙들을 적용하는 데에는 올바른 방식과 잘못된 방식들이 있다는 것이다. 착수와 계획, 훈련, 운영(governance), 관리, 의사소통, 모니터링 그리고 평가와 관련된 중요한 질문들과 구조들이 논의된다. 특정 적용영역들이 다양할지라도, 각각 그리고 모든 협력적인 노력에서 이러한 영역들이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부분은 해설서 또는 방법론의 편람이 아니라, 고려될 필요가 있는 주요한 요소들과 고려사항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관이다.
제4부에서는 돈과 협력간의 관계를 검토한다. 협력과 작업장 변화를 조장하는 금전적 보상과 임금을 구조화하는 방법들은 매우 중요한 영역이지만 자주 간과되는 영역들이다. 여기서는 단체교섭과 이윤분배의 잠재적 역할이 설명되고 지식급(pay for knowledge)과 성과급(pay forerformance)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개인별 인센티브와 집단별 인센티브 시스템들이 개관된다. 이익공유(gainsharing)와 종업원지주계획에 대한 찬성과 반대 입장이 제시된다. 좋은 임금만으로 좋은 작업장을 창조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역시 참여만으로는 좋은 작업장을 창조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그러나 그들은 어떤 방식으로 연결될 때 전체적으로 더 나은 근로생활의 질을 창조하는 데 있어 강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Table Of Contents
譯者 序文/
著者 序文/ⅹⅳ
導入글/ⅹⅶ
感謝의 글/ⅹⅹⅰ

第 1 部 勞使協力에 대한 勞使의 觀點/1
第 1 章 勞使協力이란 무엇인가?/3
1. 노사관계의 현실/9
2. 노사협력은 하나의 과정인가, 혹은 하나의 프로그램인가?/11
3. 노사협력을 위한 프레임워크/12
4. 노사협력의 역사/17
5. 산업노사관계의 최근의 경향/25
6. 결 론/27

第 2 章 協力에 대한 勞組의 意思決定/28
1. 협력이 노조의 미치는 혜택과 위험/34
2. 비자발적 협력을 피하는 방법/36
3. 의사결정이 ‘아니오’라면 어떻게 될 것인가?/40

第 3 章 協力에 대한 經營陣의 意思決定/42
1. 왜 경영진은 노조와 협력해야 하는가?/42
2. 협력적 노력의 위험과 혜택/44
3. 경영진에게 협력의 보상은 무엇인가?/47
4. 결 론/54

第 2 部 勞使協力 接近法에 대한 가이드/57
第 4 章 根源의 再調整:問題解決의 道具로서 團體交涉과 苦衷處理節次들/59
1. 갈등적인 프레임워크로부터 협력적인 프레임워크로의 이동/61
2. 공동의 전략적 단체교섭/67
3. 공동의 전략적 탐색/68
4. 공동비전 만들기/70
5. 탐색 회의들/73
6. 통합적 단체교섭/74
7. 승 - 승교섭의 구성/78
8. 경영진의 진단도구로서의 고충처리/82
9. 공동 문제해결 세션으로서의 고충처리/86
10. 신규종업원을 위한 공동 오리엔테이션 세션/89
11. 예비퇴직과 정리해고를 위한 공동모임/90
12. 결 론/92

第 5 章 連結構造의 構築:勞使委員會/93
1. 일반적 목적의 노사위원회/95
2. 건강 및 안전위원회/97
3. 공동훈련위원회/103
4. 종합원지원 및 복지프로그램/109
5. 환경 및 에너지보존위원회/113
6. 기술위원회/117
7. 벤치마킹과 비용연구팀들/121
8. 공동 지역사회 개입/123
9. 결 론/124

第 6 章 새로운 組織構造의 開發:品質分任組에서부터 社會技術的 再說計까지/126
1. 전통적 구조들/126
2. 품질분임조와 종업원참여 집단들/129
3. 평행 조직구조/133
4. 노사 타스크포스/136
5. 사회기술적 재설계/138
6. 자율관리작업팀과 자율적 작업집단/145
7. 세계 초일류 제조업/154
8. 근로생활의 질 프로그램/156
9. 결 론/159

第 7 章 새로운 機會의 創造: 마케팅, 서비스 및 製品開發에서의 協力/160
1. 공동 고객서비스 개선프로그램들/163
2. 공동 노사마케팅 프로그램들/165
3. 신제품 개발과 사내창업제/168
4. 새로운 시설을 계획하기 위한 노사협력/171
5. 종업원의 이사회 참여/174
6. 공동투자 의사결정/176
7. 결 론/179

第 8 章 質(quality)의 達成:共同 勞使 沒入/181
1. 질에 대한 고유 비전의 창조/181
2. 협력과 질/185
3. 공동 질 노력의 시작/190
4. 공동 질 노력을 위한 개발경로/191
5. 공동 질 노력과 관련된 경험/196
6. 질의 전략적 입지화/202
7. 질 시스템을 통합시키려는 도전/203
8. 질 원칙을 단체교섭에 적용/204
9. 결 론/208

第 3 部 效果的인 勞使協力에 設計/209
第 9 章 첫 번째 段階:協力을 할 것인지의 決定과 始作/211
1. 변화를 위한 동기의 탐색/212
2. 공동의 목적과 목표의 결정/214
3. 조직풍토의 조사/217
4. 노사관계의 분석/219
5. 과거 협력적 노력의 재검토/220
6. 다른 사람들의 경험 보기/221
7. 몰입의 측정/223
8. 위험과 이익의 평가/223
9. 문서화된 협정에의 도달/225
10. 컨설턴트 사용의 고려/225
11. 결 론/227

第 10 章 分明한 方向의 設定:效率的인 勞使協力 프로그램의 設計와 企劃/228
1. 프로그램의 기획/240
2. 계획안의 개발/243
3. 공동 설계자와 계획자들에 대한 훈련/247
4. 결 론/247

第 11 章 勞使協力 프로그램의 運營과 管理/249
1. 운영기구 혹은 운영위원회의 역할/251
2. 최고 수준의 개입/252
3. 중간 수준의 개입/254
4. 참가자들의 선발/255
5. 운영 서류의 개발/259
6. 프로그램 내의 안전장치 구축/261
7. 협력프로그램의 공동관리/264
8. 성과표준 설정과 스태프의 감시/265
9. 결 론/266

第 12 章 技能構築:勞使協力 프로그램을 위한 訓練의 開發과 傳受/268
1. 공동훈련의 목적과 목표 확립/270
2. 훈련을 위한 기본적 설계의 개발/271
3. 효율적인 훈련 교과과정의 개발/272
4. 훈련자의 선발과 준비/275
5. 효율적인 훈련 실시/278
6. 훈련의 모니터링과 평가/280
7. 지속적인 기능으로서의 훈련/281
8. 결 론/282

第 13 章 認識의 創造:勞使協力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意思疏通과 弘報(publicity)/283
1. 의사소통 정책과 계획의 확립/285
2. 참여자들에게 진척에 관한 지속적인 정보제공/286
3. 훈련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종업원들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제공/287
4. 경영진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제공/288
5. 노조지부 리더들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제공/289
6. 노조본부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제공/290
7. 정보공유와 독점정보 다루기/291
8. 공동프로그램을 치하하기/292
9. 정보에 대한 외부의 요청과 언론 다루기/293
10. 마케팅 도구로서 노사협력의 사용/294
11. 결 론/295

第 14 章 注意 기울기:勞使協力 프로그램의 監視와 評價/297
1. 공동감시정책과 절차의 확립/297
2. 기법들의 감시/299
3. 공동문제해결 절차들과 활동들의 사용/301
4. 진척도를 측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계획안의 사용/304
5. 공동평가 과정의 확립/305
6. 공동평가의 수행/308
7. 프로그램의 갱신/313
8. 결 론/315

第 4 部 協力의 財務的 側面/317
第 15 章 파이(pie)의 共有:代案的 補償시스템, 團體交涉 및 利潤分配/319
1. 재무적 이익의 전통적인 공유방식/321
2. 참여와 재무적 인센티브의 연계방법/322
3. 대안적 보안시스템의 프레임워크/322
4. 재무적 이익공유 메커니즘으로서의 단체교섭/324
5. 이윤분배란 무엇인가?/325
6. 이윤분배가 동기부여 요인으로서 얼마나 효율적인가?/327

第 16 章 細部 內容:個人別 인센티브計劃, 小集團 인센티브, 成果給 및 知識給/329
1. 개인별 인센티브 계획이란 무엇인가?/329
2. 개인별 인센티브 계획과 관련된 이슈들/332
3. 소집단 인센티브/334
4. 임금체계의 조직변화/336
5. 성과급이란 무엇인가?/337
6. 성과급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338
7. 무엇이 성과급을 효율적으로 만드는가?/340
8. 성과급의 이점/342
9. 성과급과 관련된 이슈와 문제점/342
10. 지식급이란 무엇인가?/343
11. 지식급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344
12. 무엇이 지식급을 효율적으로 만드는가?/345
13. 지식급의 이점/346
14. 지식급과 관련된 이슈와 문제점/347
15. 결 론/351

第 17 章 利益共有:스캔론, 럭커, 임프로쉐어 및 맞춤식 計劃/352
1. 이익공유란 무엇인가?/353
2. 이익공유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354
3. 스캔론 계획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359
4. 럭커 계획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362
5. 임프로쉐어 계획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363
6. 무엇이 이익공유를 효율적으로 만드는가?/364
7. 이익공유의 이점/367
8. 이익공유의 실현 가능성을 판단하는 방법/369
9. 이익공유에 관한 중대한 결정/371
10. 이익공유에 대한 우려점/373
11. 이익공유에 성공하기 위한 필요조건/375
12. 결 론/376

第 18 章 株式 所有하기:從業員持株計劃과 從業員所有制/378
1. 종업원지주제도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379
2. 종업원지주제도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383
3. 종업원의 기업인수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387
4. 종업원 기업인수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388
5. 노동조합과 종업원소유 회사/391
6. 종업원지주계획과 종업원 기업인수에 있어서의 종업원참여/394
7. 종업원 기업인수의 성공을 위한 필요조건/395
8. 종업원지주제도의 종업원 기업인수의 함정/396
9. 결 론/398
Series
연구보고 99-07
Extent
412
Type(local)
Report
Type(other)
연구보고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