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Language |
dc.contributor.author |
김유빈 |
- |
dc.contributor.author |
이영민 |
- |
dc.date.issued |
2018 |
- |
dc.type |
Book |
- |
dc.type.local |
Report |
- |
dc.type.other |
정책자료 |
- |
dc.subject.keyword |
청년고용 |
- |
dc.subject.keyword |
청년의 삶 실태조사 |
- |
dc.subject.keyword |
청년층 |
- |
dc.description.abstract |
청년고용이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지금, 일자리 문제에서 비롯된 소득 불안정성은 청년층의 생활수준과 전반적 삶의 질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 노동시장 내 격차가 심화 추세에 있고, 노동시장 미스매치로 인한 청년의 노동시장 진입이 지연되고 있으며, 노동시장 진입 이후 역시 노동시장의 초기 이직/퇴직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등 청년층의 일자리 사정은 긍정적 측면을 찾아보기 힘들다. 문제는 이러한 청년들의 일자리사정 악화가 다시금 청년층의 행복 및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다. 소비․저축활동의 위축, 장시간 근로관행으로 인해 여가․문화생활이 줄어들고 있고, 주거여건 역시 악화되고 있으며, 결혼과 출산에 있어서도 각종 지표는 악화추세를 보이고 있다. 청년층의 삶의 질 악화는 단순히 개인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측면에 있어 역시 큰 비용손실로 작용할 여지가 많다. 이에 본 연구는 청년층의 경제․노동시장 활동과 더불어 청년의 삶과 생활실태 및 그 동태적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 약 i
제1장 서론: 연구배경과 목적 (김유빈) 1
제2장 청년층의 고용·노동 및 생활 실태 (김유빈) 3
제1절 청년층 인구 및 고용지표 3
제2절 청년의 삶/생활관련 지표 15
제3장 2018년 청년의 삶 실태조사 결과분석 (김유빈,이영민) 46
제1절 응답자 정보 46
제2절 일반영역 53
제3절 주거관련 86
제4절 문화/여가 관련 118
제5절 자기계발 177
제6절 심리/정서 242
제4장 요약 및 결론 (김유빈,이영민) 303
제1절 청년층 노동·경제·생활 실태 303
제2절 청년의 삶 실태조사 결과 304
참고문헌 325
[부록] 「2018년 청년의 삶 실태조사」 설문지 326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김유빈 |
- |
dc.publisher.location |
kor |
- |
dc.identifier.isbn |
9791126002818 |
- |
dc.language |
kor |
- |
dc.format.medium |
보통인쇄매체 |
- |
dc.format.extent |
336 |
- |
dc.rights.accessRights |
Free access |
- |
dc.rights.rightsHolder |
한국노동연구원 |
- |
dc.rights.license |
CCL_BY_NC_ND |
- |
dc.rights.license |
KOGL_BY_NC_ND |
- |
-
Appears in Collections:
- 연구보고서 > 정책자료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