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display-item.heading1???

제3섹터 부문의 고용창출 실증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김혜원박찬임황덕순김영용박종현전승훈
Issued Date
2009
Publisher
한국노동연구원
ISBN
9788973567584
Keyword
제3섹터고용창출비영리조직국민경제고용의 질
Abstract
제3섹터 연구를 시작하면 가장 먼저 부딪히는 문제가 제3섹터란 무엇이며 제3섹터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봐야 할 것인가이다. 박상필(2002), 박태규(2002) 등의 제3섹터에 대한 제1세대 연구는 이러한 점에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의 제3섹터 범위, 제3섹터 정의를 확정짓는 논쟁적 이슈를 정면에서 다루지 않았다. 어떤 형태까지 제3섹터에 포함할 것인지를 둘러싸고 많은 논란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협동조합이 우리나라의 제3섹터에 포함되어야 하는지, 협동조합 중에서도 농협이나 축협이 생협과 차별적인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금융업 중에서 신용협동조합을 어떻게 볼 것인지도 쟁점이며 입주자대표회와 같은 주민자치조직을 제3섹터로 볼 것인지에 대해서도 문제제기가 가능하다. 이러한 여러 쟁점에 대해 본 연구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한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노력을 기울인 것은 이용가능한 모든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제3섹터의 활동을 실증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사업체기초통계조사, 고용보험 DB, 한국노동패널, 서비스업총조사, 서비스업 통계조사 등의 제3섹터 연구에 이용가능한 모든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통계조사자료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측면을 알기 위해 대규모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를 통해 제3섹터에 대한 ‘전형적 사실들’을 발견하고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목표의 달성 여부를 차치하더라도 제3섹터 연구를 위해 어떠한 분석 자료가 있으며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어질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믿는다.
연구 책임을 맡은 기관인 한국노동연구원에서는 제3섹터 전체를 개관하는 연구를 맡았고, 공동연구를 수행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는 보건복지 분야에서의 제3섹터 연구를 맡았다. 최종적인 연구결과는 각 연구기관에서 한 권씩 두 권의 책으로 발간하게 되었다. 제1권은 한국노동연구원의 연구결과를, 제2권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연구결과를 담고 있다. 제2권의 주요 내용에 대해서는 제2권의 요약을 참조하길 바란다.
Table Of Contents
요 약 ⅰ

제1장 서 론 (김혜원) 1


제1부 한국에서 제3섹터의 의의

제2장 제3섹터의 미시경제적 토대에 관한 연구:비영리 조직(NPO)을 중심으로 (김영용) 9
제1절 서론:배경, 정의 및 구분 9
제2절 제도선택 이산구조모형 14
1. 제도의 속성과 거래의 속성 16
2. 제도 환경의 변화와 제도 모드 구성의 변화 25
제3절 제도 선택을 결정하는 다양한 요인들 26
1. 공공재 모형 27
2. 계약실패 모형 31
3. 수정된 계약실패 모형 37
4. 이해당사자 모델 40
5. 공급측 요인 모델 43
6. 참가-효용 증대 모형 44
7. 관계재 모형 46
8. 자발성 실패 모형 49
제4절 결론:논의의 현실적 함의 51

제3장 국민경제와 제3섹터 (전승훈) 56
제1절 문제 제기 56
제2절 산업연관표를 통해 본 제3섹터의 규모 58
1. 분석을 위한 산업연관표의 재구성 58
2. 비영리 부문의 규모 60
제3절 제3섹터의 생산 및 부가가치 유발효과 67
1. 제3섹터의 경제적 구조 67
2. 비영리 부문 수요 증가에 따른 산업연관효과 분석 72
3. 최종수요 변화에 따른 비영리 부문의 산업연관효과 분석 77
제4절 제3섹터의 고용유발효과 80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83

제4장 제3섹터에서의 고용창출 (김혜원) 86
제1절 서 론 86
제2절 제3섹터 사업체의 식별 88
제3절 자료에 대한 설명 89
제4절 제3섹터의 고용규모 92
제5절 제3섹터의 고용 증가 96
제6절 제3섹터의 고용창출의 특징 100
1. 공식 조직의 주도성 100
2. 산업간 변동과 산업내 변동 102
3. 고용형태 구성의 변화 108
제7절 결 론 112


제2부 제3섹터 고용의 질

제5장 영리 부문과 제3섹터의 임금격차 (김혜원) 117
제1절 서 론 117
제2절 기존 연구 118
제3절 사용한 자료 및 분석 방법 121
제4절 기초 분석 129
1. 총급여, 근로시간, 시간당 임금 비교 129
2. 직종별 임금 차이 131
3. 산업별 임금 차이 133
4. 인적 속성의 차이 134
제5절 경제 전체 및 산업, 직종별 임금격차 137
1. 경제 전체의 임금격차 137
2. 직종별 임금격차 142
3. 산업별 임금격차 144
4. 자기선별을 감안한 임금격차 분석 146
제6절 제3섹터와 영리사업체가 공존하는 업종에서의 임금격차 151
1. 어린이집 151
2. 병 원 158
제7절 결 론 161

제6장 제3섹터 근로자의 고용안정과 노동이동 (전승훈) 168
제1절 문제 제기 168
제2절 노동패널을 이용한 제3섹터 취업자의 특성 분석 170
1. 비영리 부문의 정의 170
2. 비영리 부문 취업자의 비중 170
3. 비영리 부문 취업자의 특성 173
4. 제3섹터 취업결정요인 분석 176
제3절 취업자의 비영리 부문 진출입 분석 179
1. 제3섹터 취업자의 진출입 179
2. 제3섹터 취업자의 노동이동 분석 181
3. 제3섹터 취업의 지속성에 관한 분석 183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87


제3부 제3섹터 사업체 조사 분석

제7장 조사 개요와 제3섹터의 기본적 특징 (황덕순) 191
제1절 설문조사 개요 191
제2절 비영리기관의 기본 특성별 분포 192
제3절 비영리기관의 기본 특성: ICNPO 구분을 중심으로 196
1. ICNPO 구분에 따른 비영리기관의 기본 특징 196
2. 법적 지위에 따른 비영리기관의 특징 201
3. 소재지역별 비영리기관의 특징 204
제4절 소 결 206

제8장 근로자 구성과 고용관리 (황덕순) 208
제1절 비영리기관 근로자의 인적 특성 208
1. 비영리기관별 근로자의 남녀 비율 208
2. 비영리기관별 근로자의 연령 분포 213
3. 비영리기관별 근로자의 직종 분포 222
제2절 비영리기관의 고용형태 227
제3절 비영리기관의 인사관리와 임금수준 및 임금체계 239
1. 채용경로 239
2. 임금수준 244
3. 임금체계 및 보상관리 252
제4절 비영리기관 근로자의 근속과 노동이동 259
제5절 비영리기관 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 및 기업복지 운영 실태 266
제6절 인적자원관리에서의 애로요인 272
제7절 소 결 276

제9장 자원봉사 참여 현황과 자원봉사자의 특징 (황덕순) 290
제1절 자원봉사자의 규모 및 참여수준 290
제2절 자원봉사자의 인적 특성 304
제3절 소 결 314

제10장 우리나라 제3섹터의 자금조달과 재무건전성: 국제비교 (박종현) 318
제1절 자원봉사자의 규모 및 참여수준 318
제2절 주요 수입원 현황 319
1. 회비(membership due) 319
2. 민간 기부금 322
3. 정부 보조금 325
4. 이용료 수입 333
5. 영리사업 수입 337
제3절 수입원 구성과 수입원다각화 340
1. 수입원 구성 340
2. 수입원다각화 343
3. 수입과 지출의 조응 347
제4절 자산 구성과 부채 구성 349
1. 자산 구성 349
2. 부채 구성 350
3. 기본금 및 순자산 353
제5절 비영리 조직의 재무건전성 354
제6절 결 론 359

제11장 제3섹터의 조직구성과 네트워킹 (박찬임) 361
제1절 비영리 조직의 구성과 지배구조 361
1. 비영리기관의 조직구조 361
2. 비영리 조직의 성원구성과 관리 365
3. 비영리 조직의 지배구조 369
제2절 비영리기관의 주요 활동범위 376
1. 비영리기관의 설립 및 활동과 법적 근거 376
2. 비영리기관의 주요 고객집단 378
3. 비영리기관의 네트워킹 현황 383
제3절 요 약 389

제12장 제3섹터 조직의 현황과 과제에 대한 인식 (박찬임) 393
제1절 비영리 조직이 당면한 주요 문제 393
1. 비영리 조직에 대한 제도적 장애 394
2. 비영리 조직에 대한 대중의 인식 400
제2절 자신이 속한 비영리 조직의 주요 이슈에 대한 인식 405
1. 조직의 자립과 고유 목적간의 갈등에 대한 인식 406
2. 비영리 조직의 시장적 성격 강화에 대한 인식 411
3. 서비스의 질에 대한 인식 417
4. 미래 소득원에 대한 인식 420
5. 조직의 관료화에 대한 인식 423
제3절 유사 영역에서 활동하는 비영리 조직에 대한 평가 426
1. 비영리기관의 순기능에 대한 인식 427
2. 비영리기관의 혁신성에 대한 인식 435
3. 비영리기관의 한계에 대한 인식 439

제13장 결 론 (김혜원) 446

[보 론] 제3섹터 사업체 실태조사의 쟁점 (김혜원) 449
제1절 서 론 449
제2절 다양한 조직유형들 450
1. 협동조합 451
2. 공제조합, 공제회 456
3. 입주자대표회, 아파트 관리사무소, 재개발조합, 재건축조합 457
제3절 준공공부문 459
제4절 활동 영역의 구분 466
제5절 실태조사의 포괄 범위와 조사 설계 472
1. 실태조사의 범위 472
2. 실태조사의 단위 474
3. 모집단 리스트 475
4. 지 역 477
제6절 결 론 478

참고문헌 479

[부록 1] 행정안전부 등록 비영리민간단체 등록현황 (2008. 3. 31) 492
[부록 2] UN(2003)에서의 비영리 조직 분류 493
[부록 3] 실태조사 설문지 495
Series
협동연구 2008-14-01
Extent
513
Type(local)
report
Type(other)
협동연구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