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display-item.heading1???

북한 노동시장의 현황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오상봉 -
dc.contributor.author 박제성 -
dc.contributor.author 양문수 -
dc.contributor.author 이철수 -
dc.contributor.author 정은미 -
dc.contributor.author 홍제환 -
dc.date.issued 2018 -
dc.type Book -
dc.type.local report -
dc.type.other 협동연구 -
dc.subject.keyword 북한경제 -
dc.subject.keyword 북한노동법 -
dc.subject.keyword 북한 외국인투자기업 -
dc.subject.keyword 우리식 경제관리방법 -
dc.description.abstract 지난 10여 년간 북한의 시장화에 대한 연구 결과는 상당히 축적되었고 이는 북한사회를 이해하는 데 상당한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시장화의 깊이가 깊어지면 보다 큰 자본이 보다 많은 양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공급하게 될 것이며 이는 필연적으로 노동수요를 발생시킨다. 북한은 그 시작점에 서 있는 듯하다. 과거 북한의 시장화는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를 대량으로 양산하였고 이제는 이와 관련된 종사자가 100만 명이 넘는 상황이다. 이 과정에서 자본의 형성 기회가 있었으며 계획경제의 붕괴는 계획부문이 불가피하게 자본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었으며, 이는 계획부문에 사적 자본이 개입할 여지가 생겼음을 의미한다. 이를 달리 해석하면 임노동관계가 필요해졌음을 의미한다. 본 보고서는 임노동관계를 포함한 북한의 노동시장 상황을 다룬다. 먼저 북한 노동시장의 형성 배경이 된 북한 경제 및 관련 제도의 변화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음으로 보다 노동시장에 초점을 맞춰서 북한 노동시장의 형성 배경과 현 상황에 대해서 살펴본다. 제4장에서는 이탈주민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북한 노동시장의 현 상황을 분석한다. 제5장에서는 북한 노동법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며 최근 노동 관련 법제 변화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살펴본다. 제6장에서는 외국인투자기업의 노동법 변화에 대해서 살펴본다. 제7장에서는 노동시장 형성의 조건과 북한의 상황과 미래에 대해서 분석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요 약 i 제1장 서 론 (오상봉) 1 제2장 최근 북한 경제운영 체계의 변화 (양문수) 2 제1절 머리말 2 제2절 경제난 이전의 경제운영 체계 3 제3절 경제난 이후의 경제운영 체계 6 제4절 김정일 시대의 경제운영 체계: 7․1 조치와 시장화의 진전 9 제5절 김정은 시대의 경제운영 체계: ‘우리식 경제관리방법’의 시행과 시장화의 확산 14 제6절 맺음말 25 제3장 북한 노동시장의 형성과 발전 (홍제환) 29 제1절 서 론 29 제2절 북한 노동제도의 원형 30 제3절 북한 노동시장 형성 배경 32 제4절 북한 노동시장의 형성과 확대 37 제5절 북한 노동시장의 현황과 전망 45 제6절 소 결 51 제4장 북한의 노동시장 실태조사와 분석 (정은미) 53 제1절 조사 개요 53 제2절 응답자의 분포 57 제3절 유형별 경제활동 실태 75 제4절 소 결 85 제5장 북한 노동법에 관한 고찰 (박제성) 89 제1절 북한과 북한법의 법적 지위 89 제2절 북한법의 기본 원리 95 제3절 북한 노동법의 기본 구조 100 제4절 북한 노동법의 최근 동향 106 제5절 소 결 110 제6장 북한의 외국인투자기업 노동복지 법제 분석 (이철수) 112 제1절 서 론 112 제2절 법적 개괄 115 제3절 관련 조항 비교 분석 120 제4절 소 결 142 제7장 노동시장 발전의 조건과 북한의 현 상황, 미래 (오상봉) 148 제1절 서 론 148 제2절 노동시장 형성의 조건 149 제3절 북한의 상황 151 제4절 북한 노동시장 전망 154 제5절 소 결 162 제8장 요약 및 결론 (오상봉) 164 참고문헌 167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오상봉 -
dc.publisher.location kor -
dc.identifier.isbn 9791126002757 -
dc.language kor -
dc.format.medium 보통인쇄매체 -
dc.format.extent 171 -
dc.rights.accessRights Free access -
dc.rights.rightsHolder 한국노동연구원 -
dc.rights.license CCL_BY_NC_ND -
dc.rights.license KOGL_BY_NC_ND -
Appears in Collections:
연구보고서 > 협동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