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uthor(s)
- 박우성
- Issued Date
- 1998
- Publisher
- 한국노동연구원
- ISBN
- 897356207X
- Keyword
- 복수노조; 단체교섭
- Abstract
- ○ 복수노조체제의 배경과 의미
- 복수노조의 허용은 단결권의 자유를 보장한다는 의의를 지니지만 단체교섭권을 둘러싸고 발생되는 문제의 처리와 단체교섭구조 개편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제기한다.
○ 복수노조하에서의 교섭연구
- 대규모의 복수노조가 등장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을 것으로 전망
- 미국의 배타적 교섭권제, 프랑스의 비례대표제, 일본의 자유교섭권제와 이들 각각의 우리나라에의 적용 가능성
- 제도적인 단일화, 조직된 근로자인 조합원 수를 기준으로 교섭권을 단일화하는 노사관계개혁위원회 공익안은 교섭 창구 단일화, 노조조직의 통
합, 선거발생 및 선거비용의 감소 효과가 있을 것으로 평가되나 소수노조의 교섭권에 대한 제한, 조직대상을 달리하는 노조간의 교섭권 문제라는 단점
을 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 복수노조와 단체교섭구조에 대한 전망
- 앞으로의 교섭구조의 변화는 산별 노조 건설로 대변되는 교섭구조의 집중화와 대기업 내 직종에 따른 교섭구조의 분산화를 통해 기존의 기업
별 교섭구조가 다양화될 것으로 전망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복수노조 허용의 배경과 의미
1. 구노동법의 복수노조금지조항과 문제점
2. 개정법에서의 단결권 보장
3. 복수노조하에서 예상되는 문제점
Ⅲ. 복수노조하에서의 교섭창구
1. 복수노조 등장에 대한 전망
2. 복수노조하에서의 단체교섭권 : 외국의 사례
3. 우리나라에의 적용 가능성
4. 노개위 공익안의 검토
Ⅳ. 복수노조와 단체교섭구조
1. 교섭구조의 개념
2. 우리나라 단체교섭구조
3. 단체교섭구조의 변화에 관한 전망
Ⅴ. 결론 및 향후과제
- Series
- 정책연구 98-16
- Extent
- 57
- Type(local)
- Report
- Type(other)
- 정책연구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