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display-item.heading1???

산재근로자의 사회적응프로그램 모델개발 및 접근방안

Metadata Downloads
Author(s)
이현주이달엽이홍무최윤영최경숙김통원
Issued Date
2004
Publisher
한국노동연구원
ISBN
8973564870
Keyword
산재보험사회적응프로그램독일일본미국
Abstract
산재근로자에 대한 재활서비스의 중요성과 산재보험제도의 궁극적인 목표가 근로자의 원상회복에 있으나 우리나라 산재보험에 대한 관심은 주로 산재보험의 급여조건 및 수준, 재정안정화에 집중되어 왔다. 산재보험제도의 궁극적 목표는 산재근로자 개인의 신체적 잔존능력을 최대화하여 산재사고 이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고 이들이 사회참여에 차별받지 않고 건강한 노동을 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총체적인 삶의 질 향상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
산재보험이 사회안전망으로서 역할을 보완하고 생산적인 제도로 발전하기 위하여 재활사업의 중장기 관점에서 2001년부터 산재보험 재활사업 5개년 계획을 마련하여 시행하게 되었다. 산재보험 재활사업의 27개 단위사업 중의 하나인 ?사회적응프로그램 위탁교육실시?는 산재근로자의 사회복귀 정착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이다. 이 사업은 산재근로자의 자신감 고취 및 진로방향 탐색과 결정 등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여 원활한 사회?직업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2년부터 지역사회 관련기관에 사업을 위탁하여 시행해 왔다. 그러나 산재보험 운영자 및 위탁기관이 프로그램 운영이 미숙하거나 대상자 모집의 어려움 등으로 본래의 취지와 달리 파행적으로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산재근로자의 사회복귀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사회적응프로그램의 사업방향 및 모형을 제시하고, 대상자의 프로그램 접근방안을 모색하였다. 산재근로자 사회적응프로그램은 산재근로자 중심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이들의 직업복귀율을 높이며 평균요양기간을 단축시켜 요양 및 휴업급여를 절감시켜 재활사업의 목적달성에 기여해야 한다. 또한 프로그램의 목표는 구체적이며 성취가능하고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프로그램 적용 대상자를 명확히 해야 한다.
산재근로자 사회적응프로그램 모형은 산재보험 재활사업의 목표에 부합하고 단위사업의 성격을 명확히 하기 위해 직업적응프로그램 중심의 사업으로 사업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산재보험에서 제공하는 직업적응프로그램의 적용 대상자는 퇴원예정자 및 통원치료중인 자, 요양중인 자를 원칙으로 하였다. 독일 및 미국의 경우와 같이 직업상담 및 직업능력평가, 직업적응훈련과정은 요양기간 중의 증상고착기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치료종결 전에 근로자의 사회복귀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프로그램 내용은, 진행전담관리자는 상시고용된 직업재활사가 전담하고 산재근로자에 대한 직업(자영업)상담, 직업능력평가 등을 통한 직업재활 기본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개인?사회생활, 작업습관과 태도형성, 작업기능 향상 등을 위한 직업적응훈련을 실시한다. 또한 지역사회내 기업체와 연계하여 취업알선, 직종개발, 지원고용 등 다양한 고용프로그램 개발?시행이 프로그램 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 취업 후 지속적인 적응훈련을 실시하여 안정된 직장생활을 유지하도록 지원하고 사업주에 대한 고용지도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타 자영업장애인 지원(창업아이템 선정, 창업 및 경영컨설팅 연계 등 근로복지공단 자립점포임대지원사업) 및 장애인 근로자 지원(산재보험 재활사업 원직장복귀지원제도) 등과 연계하여 필요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 대상자의 서비스 참여를 독려하기 위하여 요양종결예정자 및 요양종결자의 직업재활 참여를 독려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참여시 소요되는 교통비와 식대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프로그램의 사업평가는 사업계획서에 구체적이고 측정가능한 목표설정을 위하여 연간 사업량을 계량화하여 제시(예시 :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적응훈련, 취업(창업)알선 및 사후지도, 지원고용, 지역사회 자원개발 및 연계 건수)하고 재활사업의 최종목표인 취업건수 목표량을 자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대상자의 서비스 접근방안은 근로복지공단과 위탁운영기관 간의 연계가 얼마나 잘 이루어져 있느냐에 달려 있다. 기관간의 긴밀한 협력관계는 산재근로자에게 서비스 기회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비용과 시간이 절약되어 비용효과적이다. 따라서 운영자 및 위탁기관간의 서비스 전달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이현주)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3
제3절 연구 방법 4
1. 문헌연구 4
2. 면접조사 5

제2장 사회적응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이현주) 7
제1절 사회적응의 이론적 배경 7
1. 사회적응의 개념 7
2. 사회재활과 사회적응 8
3. 사회적응의 범위 10
4. 사회적응프로그램 14
제2절 산재근로자와 재활 17
1. 산재근로자의 특성 17
2. 산재근로자의 재활 18
제3절 산재보험 재활사업 23
1. 개 요 23
2. 산재보험 재활사업의 목적 24
3. 산재보험 재활사업의 내용 26
4. 사회적응프로그램 위탁교육 실시 배경 30

제3장 사회적응프로그램 체계 (이현주) 33
제1절 프로그램 구조 33
1. 운영기관 33
2. 교육기간 38
3. 인당교육비 39
4. 프로그램 적용대상 40
제2절 프로그램 과정 42
1. 프로그램 목표 42
2. 프로그램 내용 44
제3절 프로그램 결과 47

제4장 사회적응프로그램 실태 (이현주) 49
제1절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49
1. 인구학적 특성 49
2. 신체적 특성 50
3. 경제적 특성 51
4. 사회심리적 특성 53
5. 재활서비스 55
제2절 참여 실태 57
1. 프로그램 구조 57
2. 프로그램 과정 58
3. 프로그램 결과 68
제3절 프로그램 만족도 73
1. 개인특성과 프로그램 만족도 74
2. 프로그램 구조와 만족도 74
3. 프로그램 과정과 만족도 76
4. 프로그램 결과와 만족도 79
5. 만족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80
제4절 운영기관별 성과 82

제5장 독일 산재근로자의 사회적응프로그램 (최윤영) 85
제1절 서 론 85
1. 독일 산재보험 제도 85
제2절 직업재활을 통한 사회적응 86
1. 분석모형의 정립 88
2. 산재근로자의 재활단계 90
3. 직업재활의 경로 91
4. 산재근로자의 직업재활 시설 98
제3절 사회적응 지원시설 및 프로그램 106
1. 직업후원장 106
2. 재활사정평가(Reha-Assessment) 109
3. 시설 및 서비스 프로그램 115
제4절 사회적응프로그램 130
1. 산재근로자의 사회적응프로그램 130
2. 후원책 146
3. 재활서비스 공급자와 산재보험조합과의 재정관계 153
제5절 시사점 155

제6장 일본 산재근로자의 사회적응프로그램 (이홍무) 157
제1절 서 론 157
제2절 노재보험의 사회복귀프로그램의 특성 159
1. 산재근로자에 대한 2차원 보장 159
2. 보험급부에 해당하는 사회적응프로그램 161
3. 프로그램 적용시기 161
4. 팀에 의한 접근 163
5. 개별적인 사회복귀 목표 설정 164
6. 의료재활 및 직업재활의 연계 166
7. 영역별 전문가의 지원체계 168
제3절 노재보험 급여에서의 사회적응프로그램 169
1. 생활적응프로그램(山口勞災病院) 170
2. 직업적응프로그램(중부노재병원 中部勞災病院) 171
3. 심리재활프로그램(關東勞災病院) 173
4. 재활상담(의료리허빌리테이션센터) 174
5. 리허빌리테이션 의료시설 177
6. 지불보수체계 181
제4절 노동복지사업에 의한 사회적응프로그램 183
1. 노재리허빌리테이션 작업소 183
2. 사회복귀지도원 184
3. 노재연금복지협회 185
제5절 후생노동성의 사회적응프로그램 188
1. 두경부외상증후근 등에 대한 직능회복원호 188
2. 탄광재해에 의한 일산화탄소중독증의 직능회복훈련 192
제6절 일반장애인복지정책에서의 사회적응프로그램 196
1. 사회적응프로그램 시설유형 197
2. 사회적응프로그램 내용 200
3. 공공 직업훈련 203
4. 사업주 위탁 직장적응훈련 204
5. 잡코치(직장적응원조자)에 의한 지원 205
제7절 시사점 208

제7장 미국 워싱턴주 산재보험의 사회적응프로그램 (김통원) 209
제1절 서 론 209
제2절 산재보험의 재활서비스 체계 211
1. 재활서비스 체계 211
2. 공급자(Provider) 체계 212
3. 감독 및 지불보수 체계 214
제3절 사회적응프로그램 유형 215
1. 직업보건 서비스(Occupational Health Service : OHS) 215
2. 직업재활서비스(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225
3. 직업훈련 프로그램(Work Hardeningrogram) 233
4. 직장복귀(Return to Work : RTW) 244
제4절 시사점 258

제8장 사회적응프로그램의 범위 설정 (이현주?최경숙?이달엽) 262
제1절 범위설정을 위한 원칙 262
1. 대상자 요구 중심의 프로그램 방향 설정 262
2. 산재보험 재활사업 목표에 부합한 프로그램 264
3. 사회적응프로그램 범위설정의 명확한 설정 264
제2절 심리재활프로그램의 방향 267
1. 의의 267
2. 산업재해에서의 정신과적인 문제 269
3. 산재보험과 정신과적인 문제 276
4. 산재근로자 사회적응프로그램에서 나타난 문제 278
5. 산재보험에서 정신과의 개입 279
6. 산재근로자 재활에서의 정신과적 개입 및 제언 284
제3절 직업재활프로그램의 방향 286
1. 직업적응의 개념 286
2. 직업적응훈련 289
3. 직업재활의 성공요인 290
4. 산재근로자의 직업훈련 292
5. 직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299
6.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에 영향을 주는 요소 300
7. 산재근로자의 직업적응 과정 301

제9장 산재근로자 직업적응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현주?이달엽) 317
제1절 직업적응프로그램 모형 317
1. 장애별 직업적 특성과 직업적 기능장애의 분류 317
2. 직업적응 훈련프로그램 개발 전제조건 325
3. 대상자 선발준거 328
4. 훈련과정 329
5. 교과과정과 훈련기간 333
6. 교수방법 341
7. 직업준비 342
8.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 평가 350
제2절 모형개발시 고려사항 352
1. 측정 가능한 프로그램 목표 설정 352
2. 지역사회자원의 전문성 활용 353
3. 직업적응프로그램 적용대상 362
4. 직업적응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366
5. 비용지급 366
6. 대상자 지원 373
7. 프로그램 사업평가 및 고용연계 강화 방안 374
제3절 접근방안 모색 375
1. 의의 375
2. 근로복지공단과 위탁운영기관의 협력체계 376
제4절 결론 379

참고문헌 383

부 록 397
Series
정책연구 2004-11
Extent
459
Type(local)
Report
Type(other)
정책연구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