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uthor(s)
- 강동우
- Issued Date
- 2016
- Publisher
- 한국노동연구원
- ISBN
- 9791126000968
- Keyword
- 인구이동; 지역고용; 지역노동시장; 지역실업률; 통근거리
- Abstract
- 본 연구는 대도시권 및 수도권으로의 편향적 집중을 보이는 우리나라 지역 간 인구이동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이러한 이동경향이 지역노동시장 여건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통계청 MDIS 원격접근 서비스의 인구총조사 10% 샘플을 이용하여 232개 시군구 기초지자체 수준의 지역 간 인구이동 흐름을 분석하였다. 특히 이동자를 고졸 이하 및 전문대졸 이상, 15∼39세 및 40∼64세로 구분하여 학력 및 연령에 따른 이질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지역 간 인구이동은 232개 시군구 기초지자체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현재 거주지와 5년 전 거주지가 다른 경우로 정의하였다. 또한 거주지 기준으로만 지역노동시장의 특성을 모형화할 경우에는 직주불일치에 따른 측정오차가 발생함을 감안하여, 통근거리 40㎞ 이내에서 역거리 가중치를 적용하여 구성한 지역노동시장 특성을 설명변인으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통근거리를 30㎞ 및 35㎞로 축소하더라도 한계효과의 방향성과 통계적 유의수준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Table Of Contents
- 요 약 i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제2절 분석 자료 및 연구의 구성 8
1. 분석 자료 8
2. 연구의 구성 10
제2장 지역 간 인구이동 현황 및 특징 12
제1절 시도 수준의 지역 간 인구이동 12
제2절 시군구 수준의 지역 간 인구이동 16
제3절 소 결 26
제3장 지역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 28
제1절 지역 간 인구이동의 결정요인과 국내 선행연구 검토 28
제2절 분석모형과 자료 31
제3절 분석결과 42
제4절 소 결 48
제4장 지역 간 인구이동이 지역실업률에 끼친 영향 51
제1절 지역 간 인구이동과 지역실업률 51
제2절 분석모형과 자료 53
제3절 인구이동과 지역실업률 간의 내생성 64
제4절 분석결과 66
제5절 소 결 76
제5장 결론:요약과 정책적 시사점 78
제1절 주요 연구결과 요약 78
제2절 정책적 시사점 80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과제 82
참고문헌 83
[부록] 통근범위에 대한 추정결과의 민감도 분석 87
- Series
- 정책연구 2016-01
- Extent
- 103
- Type(local)
- Report
- Type(other)
- 정책연구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