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uthor(s)
- 성재민; 황선웅; 안정화
- Issued Date
- 2017
- Publisher
- 한국노동연구원
- ISBN
- 9791126001637
- Keyword
- 노동시장; 해외 아웃소싱; 임금격차; 제조업
- Abstract
- 우리나라 제조업 취업자 수는 1990년대 초반 이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까지 꾸준히 감소하였으나, 이후 증가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추세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제조업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식별하고자 이 연구를 기획하였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1990년 이래 제조업 고용 추이를 정리하고, 2000년 이후 시기를 대상으로 해외투자, 수출입, 생산성, 생산의 국내외주화와 대․중소기업 관계 전반에 걸쳐 제조업 고용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관심사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 고용 증가를 어떤 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에 있다. 따라서 2000~07년과 2008~15년을 비교하는 분석에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추이를 보면 주로 중소기업 중심으로 고용이 증가하는데, 우리나라 제조업 특유의 대․중소기업 관계나 생산의 외주화 경향이 이를 설명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분석도 수행하였다. 금융위기 이후와 이전이 무엇이 달랐는지에 대한 분석과 대․중소기업 관계 및 제조업 고용의 관계에 대한 분석은 선행연구가 드문 영역이어서 이 연구의 가치가 있다 하겠다. 제2장의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전국사업체조사를 활용해 세부 산업별 취업자 추이를 확인한 결과 업종 중분류 수준에서 보면, 의복, 섬유제품 제조업은 1993년 이래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최근 몇 년간 더 이상 감소하지는 않고 횡보하는 모습이다. 반면, 음식료품 제조업은 1990년대 초반 이래 지금까지 증가하는 것은 아니나 그렇다고 감소했다고 보기도 어려운 모습이다. 또한 금융위기 이후로는 취업자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Table Of Contents
- 요 약 i
제1장 머리말 (성재민) 1
제2장 생산의 국내 외주화, 해외투자, 수입 증대, 생산성이 제조업 고용에 미친 영향 (성재민) 6
제1절 연구의 구성 6
제2절 선행연구와 기초통계 7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모형 설정 29
제4절 분석결과 37
제5절 소 결 57
제3장 제조업 생산과 고용의 관계: 시간-주기 분석 (황선웅) 73
제1절 서 론 73
제2절 기존 연구 75
제3절 소파동 분석 개요 77
제4절 분석 결과 80
제5절 소 결 95
제4장 해외 아웃소싱이 제조업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 (안정화) 98
제1절 머리말 98
제2절 해외 아웃소싱 지수 추계와 자료 구축 99
제3절 해외 아웃소싱이 제조업 임금격차에 미친 영향 112
제4절 소 결 121
제5장 맺음말 (성재민) 126
제1절 분석결과의 요약 126
제2절 정책방향에 대한 함의 137
참고문헌 141
- Series
- 정책연구 2017-13
- Extent
- 144
- Type(local)
- Report
- Type(other)
- 정책연구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