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display-item.heading1???

대학 특성화 지원 고용영향평가 연구

Metadata Downloads
Author(s)
류장수박성익김종한조장식곽소희
Issued Date
2015
Publisher
한국노동연구원
ISBN
9791126000340
Keyword
대학 특성화특성화 지원고용영향평가
Table Of Contents
요 약 i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3
1. 연구 내용 3
2. 연구 방법 4

제2장 대학 특성화 지원사업의 개요 및 현황 5
제1절 대학 특성화 지원사업의 개요 5
1. 대학 특성화 사업 추진 배경 5
2. 대학 특성화 사업 개념 6
제2절 대학 특성화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 6
1. 대학 특성화 사업 분류 체계와 기본방향 6
2. 대학 특성화 사업 세부내용 9
3. 평가구조 13
제3절 대학 특성화 관련 기존연구 15
제4절 대학 특성화 사업단 현황 및 실적 17
1. 선정대학 현황 17
2. 선정사업단 현황 20
3. 특성화 사업단 구성 및 참여 현황 25
4. 핵심지표 및 기준값 27
5. 1~2차년도 사업단 예산 및 집행 실적 29
6. 학생 1인당 예산 현황 35

제3장 양적 고용효과의 측정 및 분석 41
제1절 대학 특성화 사업의 양적 고용효과 유형 및 분석방법 개요 41
제2절 I-O 모형을 활용한 거시적 분석 44
1. 고용효과의 분해 및 추정 방법 44
2. 사업별 예산지출 구조 45
3. 고용효과 추정 결과 49
제3절 정원감축에 따른 고용효과 분석 73
1. 대학 정원감축 고용효과의 분석 필요성 및 분석틀 73
2. 수요·공급 곡선을 이용한 이론적 분석 76
3. 계량모형을 이용한 양적 고용효과 추정 80
4. 양적 고용효과 추정결과 87

제4장 대학 특성화 사업 실태 및 전망분석 95
제1절 조사개요 95
1. 목적 및 주요내용 95
2. 표본설계 96
제2절 사업단 인력 및 성과 현황과 전망 분석 96
1. 일반현황 96
2. 사업에 대한 노력 투입 및 성과 99
3. 사업단의 인력과 취업률 현황 및 전망 103
4. 사업단의 특성화 실적 현황 108
제3절 사업단의 고용의 질 관련 분석 126
1. 고용확대 관련 126
2. 인력수급 관련 131
3. 고용지속성 여부 134

제5장 참여교직원 및 대학생 만족도 조사 분석 136
제1절 조사개요 136
1. 목적 및 주요내용 136
2. 표본설계 137
제2절 참여교직원 만족도 조사 분석 138
1. 설문조사 개요 138
2. 참여교직원의 10개 항목 만족도 레이더플롯 분석 141
3. 참여교직원의 만족도 평균값 차이 분석 146
4. 참여교직원 만족도 의사결정나무분석 167
제3절 대학생 학과 만족도 비교 분석 182
1. 설문조사 개요 182
2. 대학생 학과 만족도 레이더플롯 분석 187
3. 참여여부별 대학생 학과 만족도 평균값 비교 분석 192
4. 대학생 학과 만족도 의사결정나무분석 205

제6장 대학 특성화 사업 심층분석 221
제1절 조사 개요 221
1. 조사 배경 및 목적 221
2. 조사 대상 및 방법 221
3. 조사 내용 222
4. 응답자 특성 222
제2절 대학 특성화 사업단 참여 교수 FGD 결과 분석 223
1. 특성화 사업 진행 현황 223
2. 학생지원 226
3. 특성화 사업 성과 237
4. 특성화 사업을 통한 고용효과 246
5. 기 타 250
제3절 대학 특성화 사업단 참여 학생 FGD 결과 분석 254
1. 특성화 사업단 참여 경위 254
2. 특성화 사업 실시 전후 교육과정·산학협력 프로그램 변화 257
3. 특성화 사업 실시 전후 취·창업 지원에 대한 변화 265
4. 특성화 사업 실시 전후 학생 행정 및 재정지원 변화 274
5. 특성화 사업 실시 전후 학교 및 학과 이미지 변화 278
제4절 대학 특성화 사업 FGD 결과 요약 및 비교 분석 280
1. 대학 특성화 사업 및 참여 현황 280
2. 대학 특성화 사업의 내용 281
3. 특성화 사업 성과 285
4. 특성화 사업을 통한 고용효과 287
5. 기타 애로사항 및 개선방안 288
6. 총 괄 290
제7장 결 론 291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291
1. 양적 고용효과의 분석 291
2. 질적 고용효과의 분석 295
제2절 정책과제 및 예산반영 방안 302
1. 진로 및 취업지원 영역에 대한 투자 강화 302
2. 사업효과 제고를 위한 사업 시행 과정에서의 정교화 추진 303
3. 성과자료 구축을 통한 미시적 고용효과 분석 실시 305

참고문헌 306

[부록 1] 설문지 309
[부록 2] FGD 질문지 322
[부록 3] 재정지출에 따른 고용효과 추정을 위한 거시계량-산업연관 통합모형 331
[부 표] 366
Series
고용영향평가 2015-01
Extent
403
Type(local)
Report
Type(other)
고용영향평가시리즈
Authorize & License
  • Authorize공개
Files in This Item:

qrcode

twitter facebook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