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uthor(s)
- 강순희; 이병희; 전병유; 정진호; 최강식; 최경수
- Issued Date
- 2000
- Publisher
- 한국노동연구원
- ISBN
- 8973563068
- Keyword
- 지식경제; 인력수요; 중장기인력수급전망; 지식기반경제; 지식기반산업
- Abstract
- - 이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① 우선 1990년대 이후의 직업구조 분석을 통하여 그간 노동력 수요에서 지식집약화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최고 분위(최고 숙련직)의 고용비중이 1993년 23.5%에서 1999년 26.5%로 증가, 나머지 분위는 모두 감소
② 거시경제모형(KDI 다부문모형)에 근거한 2010년까지의 산업 중분류×직업 중분류별 노동력 수급전망에서는 제조업에서는 정보통신기
술(ICT) 및 중고위기술 분야(연평균 2.15% 증가), 서비스업은 전반적인 증가 속에서 지식기반서비스업(2.6%)의 취업자 증가가 두드러질
것이고,
③ 1999년 현재 지식기반산업의 취업자수는 450만명으로 비농림광업 취업자의 약 1/4(25.3%)을 차지하고 있는데, 지식기반제조업
에 약 97만명, 지식기반서비스업에 352만명 정도가 취업해 있음.
기타 산업에 비하여 임금수준은 111.8%, 근로시간은 약 2.5시간 짧은 것으로 나타남. 임금프리미엄(동일한 인적자본을 가진 노
동자가 동일규모, 노동조합 조건 같을 경우)은 지식기반제조업은 약 1.2%, 지식기반서비스업은 17.8%임.
④ 2,500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향후 5년 동안 산업별로는 지식기반서비스업(11.6%), 지식기반제조업(9.4%), 일반
서비스업(8.0%), 일반제조업(3.3%) 순으로, 지식집약도별로는 고숙련사무직(11.3%), 고숙련생산직(7.4%),숙련사무
직(6.0%),숙련생산직(5.4%)순으로 고용이 증가
20대 고용성장 직종에는 컴퓨터관련 직종이 상위 및 다수를 차지하고, 교육 및 금융, 증권관련 직종도 부분적으로 포함되나, 대장
원, 단조원, 건물도장원 등 이른 바 3D직종도 포함되고 있어 인력수요의 양극화 현상이 향후에도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함.
○ 본 연구는 지식집약도별, 산업 중분류 및 직업 세분류별로 중장기 인력수요에 기초한 고용전망 및 직업별 교육훈련의 요건을 제시하고 있어,
- 디지털 시대 노동시장정책은 물론 노사관계정책의 기초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 고용안정기관 및 교육훈련기관의 진로상담, 교육훈련과정의 개설 및 이의 승인과 평가
- 개인들의 진로선택의 준거자료이자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음.
※ 미국노동통계국(BLS)의 「직업전망 및 훈련자료(Occupationalrojection and Training Data: OPTD)」
에 준함.
- Table Of Contents
- 요 약
제1부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Ⅰ.최근 직업구조의 변화
1.서 론
2.최근의 직업구조 변화의 주요 특징
3.직업구조 변화의 분석
Ⅱ.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1.지식기반경제와 노동시장
2.지식기반경제하의 인력공급 분석과 전망
3.지식기반경제하의 인력수요 분석과 전망
4.인력 양성?지원체계에 대한 시사점
제2부 지식기반산업분야 인력수급 실태 및 수요 전망
Ⅲ. 지식기반산업에서의 특성분석
1.지식기반산업의 정의 및 분류
2.지식기반산업의 인력현황 분석
Ⅳ. 인력수급 실태 및 수요전망 조사분석
1.조사개요
2.사업체 일반 현황
3.인력수급 실태 및 수요전망
참고문헌
부 록
- Series
- 정책연구 2000-14
- Extent
- 200
- Type(local)
- Report
- Type(other)
- 정책연구
- Authorize & License
-
- Authorize공개


- Files in This Item:
-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